Jayksss DEV
article thumbnail

개발 서버의 갑작스러운 정전 이후 프로세스 재기동 중 WebtoB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.

 

[HTL-00048] bind error. Listen port (80) is in use or address (0.0.0.0) is invalid.
Try to bind to that port again in 10 seconds. errno=13(Permission denied)

 

이에 대해 검색해보면 보통 다음의 결과가 나온다.(사진 첨부)

 

1. "http.m" 파일내의 NODE > IPCPERM 값을 0777 또는 0770으로 설정

(http.m은 WebtoB 설정 파일이며, NODE절에 설정하고 설정 후에는

> wscfl -i http.m 명령어로 컴파일 해준다.)

 

2. $WEBTOBDIR/bin 경로의 "htl" 파일의 권한 설정

(계정 root 변경 및 $WEBTOBDIR/bin로 경로 이동 후,

> chown root htl : htl 파일 소유자 root로 변경

> chmod u+s htl : 권한 부여)

 

3. kill -9 htl PID or webtob 관련 PID 등등 이후 진행

 

1번: http.m 파일의 NODE절에 IPCPERM 값 설정
2번: htl 파일의 root 권한 설정

 

문제는 위 방법들을 진행하고도 동일한 에러가 계속 발생할 경우인데,

결론적으로 나는 80포트를 죽이고 WebtoB를 재기동하니 정상적으로 기동되었다.

 

 

방법은 다음 명령어로 80포트 사용처를 확인하고,

netstat -tnlp | grep 80

 

다음 명령어로 80포트를 죽이면 되는데, 이는 사실 굉장히 조심스러운 작업이다.

fuser -k 80/tcp

 

나의 경우는,

  1. 개발 서버

  2. 정전 직후에 모든 프로세스를 다시 올리는 상황

이었기 때문에 80포트가 사용되는 곳도,

죽여서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이 갈 것이 없을 것이라는 근거에 의해 죽였지만

 

다른 프로세스는 정상인 상황에서 WebtoB 에러만으로 고려하는 상황이거나 운영 환경이라면

반드시 80포트의 사용처를 확인하고 진행할 것을 권장한다.

(애초에 운영 환경은 보안상 보통 80포트 사용을 막아놓는다.)

'서버 > Jeus | Webto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eus] JEUS8 MS 시작, 중지 스크립트 생성  (0) 2022.12.16
profile

Jayksss DEV

@Jayksss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